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이소 스케쳐스 르까프와 콜라보 실속 구매 기회

by gmlamis 2025. 4. 25.

‘3000원 영양제 대란’ 이후 또 한 번의 콜라! 다이소가 이번에는 스케쳐스, 르까프와 손잡고 가성비 스포츠웨어를 출시합니다. 1000원짜리 브랜드 양말, 3000원짜리 반팔 티셔츠등 다이소의 가격적 강점을 살린 아이템을 기획합니다.

 

 

1. 다이소는 왜 스포츠웨어까지 진출했을까?

<출처 :다이소>

다이소는 기존 생활용품 외에도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최근에는 브랜드 의류까지 상품군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략은 ‘실속형 소비자’를 겨냥한 것으로, 가격 대비 만족도를 극대화해 충성 고객층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큽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 온라인과 SNS 기반의 입소문 마케팅이 대세가 되면서 ‘한 번 써보자’는 유입이 반복 소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스케쳐스·르까프와 협업한 배경

 

다이소가 선택한 협업 브랜드는 모두 90년대부터 활동해 온 스포츠 전문 브랜드입니다. 소비자 인지도는 높지만, 최근 브랜드 재도약이 필요한 상황. 다이소와의 협업은 재고 소진뿐 아니라 '젊은 소비자와 다시 접점을 만드는 전략'으로도 해석됩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3000원짜리 브랜드 반팔은 ‘호기심 구매’로 접근하기 딱 좋은 조건입니다.



3. 소비자는 어떤 반응? 실제 후기를 살펴보면

 

각종 SNS, 커뮤니티에서는 “티셔츠 재질이 의외로 괜찮다”, “사이즈 넉넉하고 여름용으로 딱”, “매장에 갔다가 전부 품절”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룹니다. 특히 양말류는 1000원이라는 파격가에 여러 켤레를 구매하는 ‘대량구매’ 현상도 나타납니다. 다만 일부 소비자는 “브랜드 로고가 너무 크다”거나 “한정 판매라서 구입이 어렵다”는 아쉬움 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4. 다이소의 ‘가성비 플랫폼’ 전략은 어디까지 갈까?

 

다이소의 전략은 단순히 싼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닙니다. 핵심은 ‘가성비 브랜드 제품’을 큐레이션 해주는 플랫폼으로의 전환입니다. 건강기능식품도 대웅제약, 종근당 등 믿을 수 있는 브랜드를 선택했고, 뷰티 제품도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제품이 대거 입점했습니다. 의류 시장 진출도 그 연장선입니다. 소비자는 다이소에서 '저렴한 브랜드 제품'을 사는 경험을 하며, 점점 더 다이소를 신뢰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5. 제품 요약 및 인기 순위

 

순위 제품명 브랜드 가격
1 메쉬 반팔 티셔츠 르까프 3000원
2 스포츠 카라 반팔 티셔츠 르까프 5000원
3 스니커즈 양말 3족 스케쳐스 2000원
4 여성용 발목 양말 르까프 1000원
5 조거팬츠 비브랜드 (기획상품) 5000원



Q&A



Q1. 다이소 제품은 매장마다 다르다고 하던데?
A. 맞습니다. 매장 크기나 지역에 따라 입점 브랜드와 품목 차이가 있습니다. 인기 제품은 대형 매장 또는 온라인몰 ‘다이소몰’에서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브랜드 협업 제품은 얼마나 지속될까요?
A. 이번 의류 제품은 시즌 한정 판매로 보입니다. 하지만 판매 성과가 좋을 경우, 하반기 추가 컬렉션 가능성도 있습니다.

 

Q3. 온라인 구매 가능한가요?
A. 일부 제품은 다이소몰(daisomall.co.kr)에서 판매 중이지만, 현재 대부분 품절 상태입니다. 입고 알림 신청 기능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Q4. 동일 브랜드 제품이 왜 다이소에선 더 쌀까요?
A. 다이소는 대량 일괄 납품, 한정 컬러/디자인, 패키지 간소화 등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있습니다. 유통마진도 대폭 줄여 '균일가 판매'가 가능합니다.

 

Q5. 다음에는 어떤 브랜드가 다이소에 들어올까요?
A. 유통업계에서는 SPA 브랜드(예: 스파오, 탑텐)와의 협업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스포츠·뷰티 외에도 식음료, 전자기기 협업도 검토 중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다이소는 더 이상 ‘싸구려 매장’이 아니다

 

이제 다이소는 단순한 생필품 매장을 넘어 ‘가성비 브랜드 셀렉트샵’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과 낮은 연령 소비자 타깃으로 브랜드 제품을 경험하고, 기업은 재고 및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이 현실화된 것입니다.